한국에서 외국인 배우자와 함께 생활하면서 본국 가족에게 해외 송금을 해야 할 일이 자주 생깁니다.
결혼비자(F-6)나 영주권(F-5)를 가진 경우 정상적으로 송금이 가능하지만,
절차를 몰라 수수료를 더 내거나 은행에서 거절당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외국인 배우자(결혼이민자)가
한국에서 안전하게 해외 송금을 진행하기 위한 절차와
수수료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까지 정리합니다.
외국인도 해외 송금이 가능한가요?
외국인등록증을 발급받은 외국인은 국내 금융기관을 통해 본인 명의로 송금이 가능합니다.
- 외국인등록증 보유자 (F-6, F-5 등)
- 국내 체류지 등록 완료
- 소득 증빙 가능 (급여, 사업소득 등)
결혼비자(F-6) 보유자는 ‘거주자 외국인’으로 인정되어 자유로운 송금이 가능합니다.
송금 한도와 증빙 서류
연간 5만 달러 이상 송금 시에는 소득증빙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요구되는 서류 예시)
- 급여 명세서
- 건강보험 납부 확인서
- 사업자 매출내역
- 가족 송금 시 가족관계증명서
월별 송금 한도는 은행 내부 기준에 따라 다르지만, 연간 50,000 USD까지는 통상 허용됩니다.
송금 가능한 주요 금융기관
- 시중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등
- 디지털 서비스: Sentbe, WireBarley, Western Union
디지털 서비스는 모바일 앱만으로 간편 송금이 가능하고,
은행보다 수수료가 저렴한 경우가 많습니다.
수수료 절약 방법
- 디지털 송금 앱 활용
- 송금 국가와 연계된 은행 이용
- 수취 수수료 조건 확인
- 환율 우대 이벤트 이용
송금 방법 | 수수료 | 소요 시간 |
---|---|---|
시중은행 | 15,000 ~ 30,000원 | 1~3일 |
센트비 (Sentbe) | 3,000 ~ 7,000원 | 10분~24시간 |
와이어바알리 | 무료 ~ 5,000원 | 5분~1일 |
웨스턴유니언 | 국가별 상이 | 1~2일 |
유의사항
- 체류 기간 만료 시 송금 제한 가능
- 차명 송금 및 대리 송금은 불법
- 고액 송금 시 출처 증빙 요구
- 의심거래는 금융정보분석원(FIU) 보고 대상
외국인 배우자도 한국에서 합법적으로 소득을 증빙하면
은행 또는 디지털 서비스를 통해 안전하게 해외 송금을 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라도 송금 절차와 수수료 구조를 정확히 이해해 두면,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가족에게 안정적으로 송금할 수 있습니다.
'국제 결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외국인 배우자 대상 법률상담 무료 서비스 활용법 (0) | 2025.07.03 |
---|---|
2025년 다문화가정 외국인 배우자의 퇴직금 수령 조건과 퇴사 시 유의사항 (0) | 2025.07.03 |
2025년 외국인 배우자의 자격증 취득 시 장학금·지원금 제도 총정리 (0) | 2025.07.02 |
2025년 외국인 배우자와 자녀의 재난지원금 및 지역화폐 수령 조건 (0) | 2025.07.01 |
2025년 외국인 배우자의 문화누리카드 및 여가 지원 제도 활용법 (0) | 202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