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기술은 이제 일상의 필수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다문화가정의 부모는 스마트폰 사용이나 공공기관 온라인 서비스 활용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해 자녀 교육, 민원 처리, 복지 신청 등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어가 서툰 부모의 경우 디지털 소외로 인해 정보 접근 자체가 제한되며, 이는 가족 전체의 사회적 통합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최근 정부와 지자체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란?
디지털 리터러시는 단순히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사용할 줄 아는 수준을 넘어,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며, 사회적 소통과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다문화가정 부모에게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특히 중요합니다.
- 자녀 학교 생활 알림장(e알리미 앱 등) 확인
- 온라인 민원 신청, 건강보험 등록, 공공서비스 수령
- 자녀 숙제 확인 및 인터넷 학습 플랫폼 활용
- 병원 예약, 금융 앱 사용 등 일상생활의 디지털화 대응
즉, 디지털 리터러시는 자녀 교육 참여, 복지 접근, 사회 통합의 필수 수단입니다.
2025년 주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국가평생교육진흥원 – 디지털배움터
- 내용: 스마트폰 사용법, 포털 검색, 이메일, 민원24·정부24 사용법
- 언어 지원: 다문화강사 연계, 일부 지역 통역 제공
- 신청 방법: 디지털배움터 공식 홈페이지
- 비용: 전액 무료
- 형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평생학습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
여성가족부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디지털 교육 과정
- 대상: 결혼이민자 및 다문화가정 부모
- 내용: 공공서비스 앱 사용, e알리미, 카카오톡, 키오스크 사용법 등
- 운영 방식: 정기 교육(3~4회 과정), 방문형 소규모 강의
- 신청 경로: 다누리포털 지역센터 검색
- 비용: 무료
지자체 맞춤형 디지털 역량 교육
- 운영: 서울, 부산, 광주 등 지자체별 자체 기획
- 내용 예시:
- 서울시: AI 기초 교육 + 정부 서비스 실습
- 광주시: 금융앱·공과금 납부·정부 지원 앱
- 부산시: 자녀상담 시스템, 교육포털 사용법 등
- 신청 방법: 구청·시청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 공지 확인
참여 시 유의사항
- 대부분 프로그램은 선착순 접수, 통역은 사전 요청 필요
- 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또는 거주지 확인 서류가 요구될 수 있음
- 중도 수강 포기 시 향후 과정 참여 제한 가능성 있음
요약
교육기관 | 주요 내용 | 신청 경로 | 비용 |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 스마트폰, 공공서비스 활용 | 디지털배움터.kr | 무료 |
여성가족부 (다문화센터) | e알리미, 키오스크, 민원 서비스 | 다누리포털 | 무료 |
지자체 프로그램 | 지역 맞춤형 디지털 역량 교육 | 구청 홈페이지/센터 | 무료 |
디지털 문해력은 단지 기기를 다루는 기술이 아니라, 자녀의 교육을 도울 수 있고, 스스로 삶을 주도할 수 있는 힘이 됩니다. 다문화가정 부모가 디지털 교육을 통해 정보를 찾고 활용할 수 있게 되면, 자녀와의 소통은 물론 사회 참여도 훨씬 수월해집니다. 어려워 보여도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무료이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운영되고 있으니 가까운 센터나 홈페이지를 통해 용기 있게 시작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제 결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외국인 배우자의 운전면허 발급·갱신·취소 조건과 유의사항 (0) | 2025.06.28 |
---|---|
2025년 외국인 배우자의 부모 장기초청 및 체류 연장 조건·절차 총정리 (0) | 2025.06.28 |
2025년 다문화가정 자녀 대상 심리 상담 및 정서 지원 제도 정리 (0) | 2025.06.28 |
2025년 다문화가정 자녀 대상 온라인 학습 콘텐츠 및 디지털기기 무상 지원 총정리 (0) | 2025.06.28 |
2025년 다문화가정 부모를 위한 한국어 및 생활통합 프로그램 정리 (0) | 2025.06.28 |